반응형
개요
VLAN이 나누어져 있는 경우, 사용자에서 서버로 가는 IP와 MAC통신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알아봅시다. VLAN은 위 그림과 같이 10,20,30 대역으로 나누어져있다는 가정이며, 맨 왼쪽은 Client, L2,L3,L4는 스위치를, 맨 오른쪽은 서버를 나타냅니다.
(1) client -> L2
S(출발지) | D(도착지) | |
IP | A | V |
MAC | a | c |
(2) L2 ->L3
S(출발지) | D(도착지) | |
IP | A | V |
MAC | a | c |
(3) L3-> L4
S(출발지) | D(도착지) | |
IP | A | V |
MAC | d | e |
(4)L4 -> server
S(출발지) | D(도착지) | |
IP | A | V |
MAC | f | v |
01. VLAN(Virtual LAN)
- 공통된 VLAN 안에서는 mac으로 통신이 가능합니다.
- Layer2 통신할 때 VLAN을 사용합니다.
- FDB 테이블에 mac주소 기록하여 사용합니다.
02. GW(Gateway)
- 서로 다른 VLAN대역의 통신은, GW를 통해서 IP로 통신해야 합니다.
- Layer3 통신할 때 gateway를 사용합니다.
- ARP 테이블에 mac,IP주소 기록하여 사용합니다.
+) 라우팅 테이블
라우팅테이블은 static한 형식으로 되어있습니다, 도착지가 정해져있는 경우에 Inbound/outbound 경로를 지정하여 사용합니다. 보통, default 게이트웨이(공인/public)가 아닌 별도의 게이트웨이(Layer3)를 통해 통신해야 하는 경우 사용합니다. (예를들어, 내부망 접속)
⭐️네트워크 시리즈⭐️
'SE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 기초] 도메인과 URL/URI의 차이점 (0) | 2023.06.23 |
---|---|
[네트워크] 프로토콜 종류별 포트와 TCP/UDP 차이점 (0) | 2023.06.23 |
[네트워크]IP와 서브넷 마스크 (0) | 2023.06.22 |
[DNS] DNS에서 도메인 경로와 DNS 캐싱 (0) | 2023.06.18 |
[DNS] Public DNS와 Local DNS 개념 (0) | 2023.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