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 기초7

[SE 기초] 도메인과 URL/URI의 차이점 도메인, URL, URI의 차이점을 알고 구분할 수 있어야합니다. [간단히, URL/URN/URI의 차이점] URL은 리소스의 위치를 나타내는 흔히 알고있는 웹사이트를 가리키는 주소입니다. (ex.http://www.google.com) URN은 리소스의 이름을 나타내며 영속성을 지닙니다. (urn : isbn : 9788982814471) URI는 리소스 식별자로 URL과 URN을 포함하는 의미입니다. 01. 도메인(Domain) 도메인은 인터넷에서 특정 웹사이트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고유 식별자입니다.도메인은 기억하기 쉽고 알아보기 쉬운 웹 사이트 이름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 쉽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됩니다. 02. URL(Uniform Resource Locator) URL은.. 2023. 6. 23.
[네트워크] VLAN이 나누어진경우, IP 통신과 MAC 통신은? 개요 VLAN이 나누어져 있는 경우, 사용자에서 서버로 가는 IP와 MAC통신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알아봅시다. VLAN은 위 그림과 같이 10,20,30 대역으로 나누어져있다는 가정이며, 맨 왼쪽은 Client, L2,L3,L4는 스위치를, 맨 오른쪽은 서버를 나타냅니다. (1) client -> L2 S(출발지) D(도착지) IP A V MAC a c (2) L2 ->L3 S(출발지) D(도착지) IP A V MAC a c (3) L3-> L4 S(출발지) D(도착지) IP A V MAC d e (4)L4 -> server S(출발지) D(도착지) IP A V MAC f v 01. VLAN(Virtual LAN) 공통된 VLAN 안에서는 mac으로 통신이 가능합니다. Layer2 통신할 때 VLA.. 2023. 6. 23.
[네트워크] 프로토콜 종류별 포트와 TCP/UDP 차이점 프로토콜(Protocol)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통신 규약 및 약속으로 데이터 교환 방식을 정의 합니다. 기본적으로, 구문(syntax), 의미,시간의 3가지 기본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01. 프로토콜 종류 네트워크 OSI 7계층별 사용하는 프로토콜의 종류입니다. 계층 프로토콜 응용(Application) HTTP, SMTP, FTP, Telnet 표현(Presentation) ASCII, MPEG, JPEG, MIDI 세션(Session) NetBIOS, SAP, SDP, NWLink 전송(Transport) TCP, UDP, SPX 네트워크(Network) IP, IPX 데이터 링크(Data Link) Ethernet, Token Ring, FDDI, Apple Talk 물리(Physical) 없음 .. 2023. 6. 23.
[네트워크]IP와 서브넷 마스크 IP(인터넷 프로토콜) 및 서브넷 마스크는 네트워크에서 장치(ex.컴퓨터)를 식별하고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필수 개념입니다. IP 및 서브넷 마스크 내용을 이해하는 것은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구성하고 관리하여 적절한 주소 지정, 라우팅 및 장치 간 통신을 허용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01. IP(Internet Protocol) IP는 네트워크를 통해 장치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 프로토콜입니다. IP 주소는 IP 기반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장치에 할당된 고유한 숫자 레이블(예: 192.168.0.1)입니다. IP는 호스트 IP 부분 + 네트워크IP 부분으로 구성합니다. 같은 네트워크(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의 IP끼리 통신을 위해서는 네트워크 영역은 같고 호스트 IP가 달라야 합니다. 네.. 2023. 6. 22.
[DNS] DNS에서 도메인 경로와 DNS 캐싱 도메인 경로 사용자가 dns 서버에 질의응답을 하게되는 경로 및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Client(사용자)가 주소입력창에 도메인을 포함한 url을 입력합니다. ISP: 이동통신사(사용하는 공유기의 통신사)의 DNS 서버에서 IP를 해당 서버에 전달합니다. 어느기업이 구입한 공인 IP인지를 판별하여 해당 기업에 전달 또는, 기업 내의 네트워크를 거쳐 실제 서버로 전달 도메인과 IP는 사용자의 PC에 Cache로 저장되고 이후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 Caching(캐싱) DNS 캐싱에는 브라우저단의 캐싱과 os단의 캐싱이 있습니다. dns가 연관된 테스트시에는 이 두 캐시를 모두 지우고 테스트하여야 합니다. 또한, 브라우저 캐싱과 OS 캐싱의 TTL(TIme to Live)값이 달라 예측한 캐싱시간과 .. 2023. 6. 18.
반응형